예방접종

가장 쉽고 확실한 감염병 예방법 예방접종

예방접종은 감염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공중보건 중재 수단으로 국가 예방접종 사업을 통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발생 빈도는 현저히 감소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영유아 중심의 예방접종만이 주로 강조되었다면, 이제는 성인 및 노인 역시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다양한 환경 변화로 예방접종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A형 간염 예방접종
-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여 감염되는 질환으로 간 조직을 죽이거나 변성을 일으키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 만 20~39세 및 위험군 성인 ( 만 40세 이상은 항체검사 후 음성일 경우 접종 권장 )
- 의료기관 종사자 필수 접종
- 1차 접종 후 6~12개월 후 2차 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혈액, 침, 정액, 모유, 소변 등에서 발견되고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전염됩니다.
- 항원 항체가 없는 사람은 모두 접종 권장
- 수혈을 자주 받아야 하는 사람
- 투석환자
- 의료기관 종사자 필수 접종
- 6개월 3회(0-1-6)개월 (권장)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으로 오한, 인후통, 38도 이상의 고열, 기침 등을 동반하며 폐렴, 폐혈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 전 연령층
- 매년 1회 접종

폐렴구균 예방접종
- 폐렴구균은 급성중이염, 폐렴 및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입니다. 영아 및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잘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을 앓는 50세 이상 중년
- 1회 접종( 고위험군은 2회 접종 )

대상포진 예방접종
- 신경절에 숨어있던 수두바이러스가 면역력이 약해졌을 떄 활성화되어 발병하는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라면 반드시 권장되는 예방접종입니다.
- 만 50세 이상
- 유전자 재조합 백신 2회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백신(Tdap)
- 18세 이상 성인, 평생 1회은 꼭 맞아야합니다. 이후 10년마다 Td 또는 Tdap을 접종합니다.
- 의료기관 종사자 필수접종
- 외상후 상처관리: 이전에 Tdap을 한번도 접종하지 않은 환자에게 Tdap 접종을 권고합니다.

파상풍 백신
- 10년마다 추가접종합니다.

홍역볼거리풍진
- 의료기관 종사자 필수접종
- 의료진등 노출 고위험군은 한달 간격으로 2회 접종

수두
- 1970년 이후 출생자, 학생, 군인, 의료기관종사자, 학교 유치원 교사, 해외여행자, 고위험군(면역저하자)과 자주 접촉하는 사람, 가임기 여성중 면역이 없는사람
- 의료기관 종사자 필수접종
- 한달 간격으로 2회 접종

수막구균
-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균에 대한 예방접종
- 유학생 필수 접종
- 기숙사거주 대학교 신입생, 신입훈련병, 수막구균감염증 유행지역 여행자, 무비증, 보체결핍 환자, 수막구균에 노출되는 실험실 근무자

자궁경부암(인유두종바이러스백신)
- 45세 이하 성인 여성, 26세 이하 성인 남성
- 3회접종(0-2-6)

성인예방접종표

대상감염병 만 19-29세 만 30-39세 만 40-49세 만 50-59세 만 60-64세 만 65세 이상
파상풍-디프테리아
(백일해)
10년마다 접종
인플루엔자 매년 접종
A형간염 접종 항체 검사 후 접종 고위험군은 항체 검사 후 접종
B형간염 접종력이 불 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고위험군은 접종력이 불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홍역-볼거리-풍진 고 위험군 접종
수두 고 위험군은 항체 검사 후 접종
인유두종바이러스 접종
폐렴사슬알균 고 위험군 접종 접종
대상포진 60세 이상 접종